스프링 부트로 게시판을 만들 때, 본문 내용에는 줄바꿈이 들어간다.
로그를 찍어보면 입력 받을 때는 줄바꿈을 잘 반영하여 데이터를 받는다.
그런데 데이터베이스에는 한줄로 저장된다. 결국 저장하는 과정에서 줄바꿈(\n)이 무시되는 것 같다.
DB에 저장되어 있는 글의 enter 값을
태그로 변환
우선 원하는 값을 가져온다. String temp = request.getParameter("contents"); temp에는 textarea로 통해 입력된 모든 값이 들어가 있다. 이때 Enter 값은 \r\n으로 저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r\n을 로만 바꾸어..
snoopy81.tistory.com
해결방법을 찾아보니 html에서는 엔터가 \r\n으로 입력되는 이것을 <br>태그로 바꿔주면 된다고 한다. 그러면 br태그가 포함된 문자열이 저장되고 html에서 표현될 때도 줄바꿈이 될 것이다.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왔다. 줄은 안바뀌고 <br>태그만 그대로 나왔다ㅋ. 소스를 보니 꺽쇠가 예상과 다르게 나왔다.
현재 방식은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mustache에 전달해서 출력하는 것인데 이런 결과가 나온다.
오픈카톡방에서 질문한 결과, mustache 문법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Mustache 템플릿 문법
Mustache는 제어 구조를 갖춘 것 중 (아마도) 가장 문법이 간단하고 (아마도) 가장 많은 언어로 포팅된 템플릿 엔진입니다. Mustache를 기반으로 이를 확장한 템플릿 엔진도 여럿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taegon.kim
그래서 괄호를 2개가아닌 3개로 감싸니까 제대로 나왔다
교훈 : 에러를 잡으려면, 서비스 흐름대로 로그를 찍어보며 찬찬히 찾는 것이 빠른 길이다
'십이지내장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질 에러 해결 - cannot resolve symbol, Cannot access .... (0) | 2021.05.17 |
---|---|
고민과 해결 - spring boot, mustache 폼 태그에서 어떻게 put, delete 전송을 할 수 있을까? (0) | 2021.05.07 |
mustache 페이지 인덱스 - 숫자 반복문(리스트)로 만듦 (0) | 2021.05.01 |
공부 소스를 공유하는 사이트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만들기(3) (0) | 2021.04.30 |
(업데이트 중인)스프링부트 - 어드민 페이지 프로젝트(3)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