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이거저거

(10)
엉터리 정리 - CORS 인터넷을 돌아다니며 공부한 내용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혹시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출처는 글 하단에 있습니다. 최근 cors를 접하게 된 기회가 생겼는데, 개인적으로는 "서버가 헤더에 요청할 수 있는 도메인을 추가해서 응답해주는 거" 정도로 알고 있었다. 왜 있는지도 몰랐다. 그런데 공부하다 보면서 생각보다 중요한 정책임을 알았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가 자신의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와 다를 때 교차 출처 HTTP 요청..
간단히 용어 정리 - GA, GNB, LNB, SNB, FNB 개발 관련 용어 정리. 웹 관련 작업을 하다보면 알면 유용히 쓸 수 있는, 모르면 다시 찾아봐야 하는 용어들이 적잖이 있어 정리함. * GA - Google 애널리틱스 * gnb란? https://www.twinword.co.kr/blog/how-to-optimize-gnb-based-on-data/ GNB ( Global Navigation Bar ) - 사이트 최상위 전체 공통네비게이션. 메인메뉴, 대분류 메뉴, 전체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공통메뉴바 LNB ( Local Navigation Bar ) - 현재 서비스 영역(Local)만 해당되는 네비게이션. 서브메뉴, 중분류 메뉴, 각 서브분류 별 사용되는 메뉴바 SNB ( Side Navigation Bar ) - 메인메뉴, 서브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
엉터리 정리 - IIS, 레드마인 인터넷 정보 서비스(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IIS)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이다. 흔히 IIS라는 약칭으로 많이 불린다. 윈도우에서는 NT 커널을 사용하는 모든 버전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서버 버젼에서는 서버 관리자 스냅인을 이용해서 추가가 가능하며, 데스크탑 버전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으로 들어가서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체크하면 된다. XP 이하는 기본으로 내장이 안 되어 있으니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 나무위키-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다면,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웹서버 소프트웨어다. 레드마인(Redmine)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웹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와 버..
OAuth 2.0 - 생활코딩 강의 정리(3) 생활코딩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글입니다. 제가 임의로 다시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강의와는 조금 다릅니다. API 호출.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소스 오너, 리소스 서버의 인증을 받은 후 API를 호출해야 한다. 당연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마다 API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르다. Refresh token. 액세스 토크은 수명이 있다. 그럼 그 수명이 끝나면 API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없다. 그래서 다시 액세스 토큰을 발급해야 하는데 다시 액세스 토큰은 번거로운 일이다. 그럴 때, 쉽게 액세스 토큰을 얻는 방법이 리프레쉬 토큰이다. 보통 액세스 토큰을 발급할 때, 리프레쉬 토큰을 같이 준다. 그리고 액세스 토큰을 사용해 리소스 서버를 사용한다. 그러다 액세스 토큰의 수명이 ..
OAuth 2.0 - 생활코딩 강의 정리(2) 생활코딩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글입니다. 제가 임의로 다시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강의와는 조금 다릅니다. 리소스 오너의 승인. 클라이언트를 리소스 서버에 등록하게 되면 리소스 서버는 해당 클라이언트 id, secret, redirect uri을 갖게 된다. 등록 과정을 마치면 리소스 오너가 리소스 서버에게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승인한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만약 리소스 서버가 A, B, C, D 의 기능을 갖고 있고 클라이언트가 B, C를 사용할 것이라면, 그것에 대한 인증만 받는 것이 좋다. 리소스 오너(유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리소스 서버의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면, 클라이언트는 리소스 오너에게 링크를 건네준다. 이 링크에는 클라이언트 id, 사용할 리소스 서버..
OAuth 2.0 - 생활코딩 강의 정리(1) 생활코딩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글입니다. 제가 임의로 다시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강의와는 조금 다릅니다. OAuth라는 기술은 언제 사용하는 것인가? 먼저 나의 서비스, 그것의 사용자, 그리고 구글과 같은 대형 서비스가 있다고 하자. 대형 서비스는 구글이라고 퉁치자. 나의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구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받고, 나의 서비스는 그것을 갖고 구글에 로그인하여 기능을 제공한다. 이렇게 된다면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가 나의 서비스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생기고, 이것은 구글에게도 문제가 된다. 이런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OAuth이다. 나의 서비스와 구글을 연동시키는 것이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구글(대형 서비스)은 accessToken이라는 일종의 비밀번호 같은 것을 나..
엉터리 정리 - yaml 여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규칙을 정해 주고 받는다. 그렇게 만들어진 데이터 포맷이 Xml, Json, Yaml이다. 태그를 통해 key, value를 구분한다. 태그 내 태그를 넣어 부모-자식 관계 구조를 나타내기도 한다. xml 보다 간소하다. 대괄호로 감싸서 key, value를 표현한다. xml, json보다 간소하다. 콜론으로 구분한다. 쌍따옴표도 없다. 참고 자료 : www.inflearn.com/questions/16184
엉터리 정리 - 쿼리 스트링 TIL 비슷하긴 한데 하루 동안 공부한 건 아니고, 정리는 하고 싶은데 제대로 공부한 건 아니고,(귀찮아서는 그런건 아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까먹지만 않을 정도로 정리하는 엉터리 정리글. 그렇다고 내가 공부한 소스가 엉터리인 건 아니다.(오해X) 간단하지만 이해하기 쉬워 먼저 읽어보면 좋다. 짧다. 쿼리 스트링 - 나무위키 쿼리 스트링은 쿼리 파라미터라고도 부른다. 주로 URL 끝에 붙여져 있다. 검색 사이트에 ?query=XXX 라든지, ?redirect=URL 이런 것이 쿼리 스트링이다. 쿼리 스트링은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데, 구조를 namu.wiki 쿼리스트링을 이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할 때, 추가적인 인자(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요청할 때, path 부분 뒤에 ?를 붙이고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