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이거저거

(10)
엉터리 정리 - 깃, http, MIME 정리는 하고 싶은데 제대로 공부한 건 아니고,(귀찮아서는 그런건 아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까먹지만 않을 정도로 정리하는 엉터리 정리글. 그렇다고 내가 공부한 소스가 엉터리라는 건 아니다.(오해X) Git. 깃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깃을 추상화해서 생각하자. 깃은 작업 영역, 인덱스 영역, 헤드 영역이 있다. 깃은 이 세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고 동기화 등의 기능들을 통해 버전을 형상을 관리한다. 작업 영역은 일반 작업 폴더와 같다. 작업된 파일이 이곳에 저장된다. 작업된 파일을 인덱스 영역에 옮긴다.(add) 인덱스 영역에 파일을 헤더(트리) 영역에 옮겨 영구히 저장한다.(commit) 헤더 영역에선 커서를 통해 과거의 프로젝트 버전으로 다운시킬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동기화를 하고, 버..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Pattern) 자바 입출력 스트림을 공부하면 데코레이터 패턴이 등장하는데, 이해가 어려워서 따로 정리했다. 데코레이터 패턴은 기반 객체(ConcreteComponent)와 그 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코레이터(Decorator)를 사용하여 기반 객체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속보다 유연한 확장성을 갖고, 지속적인 서비스의 증가와 제거가 편리하다. 예) 데코레이터 패턴을 사용한 빼빼로 "빼빼로"라는 추상 클래스가 있다. "빼빼로" 추상 클래스를 상속 받아 기반 객체인 "롯데 빼빼로"를 생성한다. public abstract class Stick { public abstract void eating(); } public class lotteStick extends Stick{ @Override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