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sql

(7)
집계 함수 집계 함수를 사용하면 집합의 개수, 합계 등의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집합은 함수의 인자로 지정한다. 집합에 대해 계산한다 해서 집계 함수라 부른다. 따라서 결과값으로는 하나의 행(집계의 결과)을 반환한다. COUNT : 인수로 주어진 집합의 개수를 구해 반환한다. NULL 값은 제외한다. SELECT COUNT(*) FROM sample; -> sample 테이블의 행의 개수를 구해 반환한다. SELECT COUNT(*) FROM sample WHERE name='money'; -> name이 money인 행의 개수를 구해 반환한다. no name 1 a 2 b 3 NULL 위와 같은 테이블이 있을 때, SELECT COUNT(no), COUNT(name) FROM sample; -> COUNT(no..
데이터 추가, 삭제, 갱신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SELECT 명령으로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INSERT 명령을 사용한다. INSERT 명령은 테이블의 행 단위로 데이터를 추가한다. 데이터를 추가하기 전 'DESC 테이블명;' 명령을 통해 각 컬럼의 정보를 알고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T(11), VARCHAR(30), DATE 타입의 컬럼들이 있을 때, 데이터를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문을 사용한다. INSERT INTO sample VALUES(1, 'ABC', '2021-05-20'); -> sample 테이블에 VALUES 괄호 안에 있는 데이터들을 삽입한다. 각 데이터의 순서는 테이블 컬럼의 순서와 맞아야 한다. INSERT INTO sample(no, n..
정렬과 연산 - 날짜 데이터, CASE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날짜 연산 데이터베이스에선 날짜 DATE, 시간 TIME, 날짜와 시간 DATETIME 형이 있다. 표준 SQL에서는 'CURRENT_TIMESTAMP'라는 함수를 실행하면 현재 시간을 볼 수 있다. SELECT CURRENT_TIMESTAMP; 위 함수를 시용하면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 직접 시간을 지정해서 저장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날짜 서식을 임의로 지정, 변환하는 함수를 지원한다. Oracle : 문자열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 TO_DATE('2014/11/11', 'YYYY/MM/DD') 날짜시간 데이터와 기간형 수치데이터(1일, 2시간, ...)를 사용해 날짜에 덧셈, 뺄셈 연산을 할 수 있다. 또는 날짜에서 날짜를 빼서..
정렬과 연산 - 수치 연산(함수), 문자열 연산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SQL은 기본적인 계산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인 산술 연산 기능을 갖고 있다. -> + - * / %(나머지. MOD를 사용하기도 함.) -> 우선순위는 기본적인 수학 연산에서와 같다. SELECT 구나 WHERE 구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SAMPLE 테이블이 있다. SELECT *, price * quantity FROM sample; -> 샘플테이블에서 모든 열의 데이터와 단가와 개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 하지만 이렇게 하면 출력 값에는 'price * quantity'라는 열이 추가되서, 가독성이 떨어진다. -> 이럴 때, AS 구를 사용하면 원하는 이름의 별명을 붙일 수있다. -> SELECT *, price * quantity ..
정렬과 연산 - ORDER BY, LIMIT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ORDER BY 구를 사용하면 검색 결과의 행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SELECT * FROM sample ORDER BY age; : sample의 모든 컬럼을 나이 순서(오름차순)대로 가져와라.(보통 기본값은 오름차순) -> 기본값은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명시하는 것이 좋다. 내림차순으로 바꾸려면 ORDER BY age DESC로 하면 된다. 오름차순은 기본값이지만 명시한다면 ORDER BY age ASC. WHERE 구와 같이 사용하려면 WHERE 구 뒤에 지정하면 된다. -> SELECT * FROM sample WHERE age=10 ORDER BY name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날짜에서 헷갈릴 수 있다. 최근 날짜일수록 큰 것이다.문자열 데이터는 사..
테이블에서 데이터 검색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해당 챕터는 명령어 설명이 많이 나온다. 명령어는 다른 좋은 글들이 많기 때문에 자세한 것이 알고싶을 때는 그때그때 검색하면 될 것 같고, 여기서는 큼지막하게, 중요한 것 같은 것만 정리. sql 헬로 월드. SELECT * FROM sample; : 각 키워드마다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 문장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여야 한다. 각 키워드를 분석해보자. SELECT : 명령의 종류이다. select는 데이터를 읽어오는 명령어다.* : 모든 열을 의미하는 문자.FROM : 처리 대상 테이블을 지정하는 키워드이다.sample : 테이블의 이름이다.=> sample이라는 테이블에서 모든 열의 데이터를 가져오라는 명령어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마찬가지로 예약어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와 SQL SQL 첫걸음이란 책을 읽으면서 정리중.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집합. 통용되는 개념은 특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을 때,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정리된 형태.(계산대 데이터, 핸드폰의 연락처, ...)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사용 목적은 생산성 향상, 기능성, 신뢰성 확보에 있다. 생산성 : 데이터 검색, 추가, 삭제, 갱신과 같은 기본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기능성 :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수 유저의 요청을 대흥,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속으로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신뢰성 : 여러 하드웨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확장성(Scalability),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