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등등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부한 걸 어떻게 티 낼까(feat. 신입 개발자의 블로그의 목적) 내가 본격적으로 개발 블로그를 작성한 것은 자바, 스프링 부트를 공부할 때였는데 당시 개발자 취업에 관한 콘텐츠를 보면, 깃허브나 블로그를 이용해서 공부한 것들을 보여주라는 내용들이 많았다. 물론 지금도 관련된 내용이 많은 것이고 그것이 틀렸다는 이야기도 아니다. 그래서 나는 내가 공부한 걸 정리하는 겸, 공부한 것들을 티 내는 겸 이렇게 크게 두 가지의 이유로 블로그를 작성했다.(번외로 코드를 작성해서 깃허브에 올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나는 왜인지 모르게 공부할 때 코드 자체를 올리는 것보다, 코드나 프레임워크에 대한 특성 등을 정리하는 것이 더 재밌어서 블로그를 더 많이 하게 된 것 같다.) 원래 나는 a4용지나, 노트, 또는 필기 앱 등을 이용해 정리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텍스트로만 .. 파이썬으로 주식 백테스팅 파이썬으로 통해 백테스팅하는 코드를 12월에 만들었다. 일봉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pykrx로 데이터를 구해 db로 만들고 원하는 조건에 맞는 종목을 찾고 당일 매매하는 로직을 짰다. 백테스팅 결과는 망했다. 그렇다고 다 그런건 아니고 매매 로직을 잘 짠다면 충분히 의미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표는 미리 선정한 종목을 시가에 사서 고가가 +2프로 보다 크거나, 저가가 -4프로 보다 작으면 파는 매매로직이었는데(종가매도) 엄청난 수익률이 나왔다. 실제 데이터는 -4프로를 찍고 +2프로를 가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실제로 저 로직으로 한다면 매일 손해일 것이다. 백테스팅 라이브러리는 많이 있는데 내 마음대로 설정하기가 번거로워 직접 DB로 하루하루 조회해서 테스팅 했다 cheog..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