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며 공부를 하던 중 mock mvc 라는 것을 알았다.
사용법은 다른 블로그에 좋은 글들이 많기 때문에 여긴 그냥 개념만...
MockMvc를 사용하면 테스트 코드에서 컨트롤러에게 요청해서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 전에는 postman 같은 것을 사용해 직접 body 에 json 값을 넣어 post 요청을 했었는데 mock mvc 테스트 코드를 사용하면 테스트 코드만 실행하면 결과까지 다 알 수 있다. -> 시간이 매우 절약된다.
@BeforeEach가 붙은 메소드는 각 테스트가 실행되기 전에 먼저 수행되는 메소드다. 저 메소드가 수행되면, mockMvc가 빌드되고 테스트 메소드는 그 객체로 테스트를 수행한다.
자세한 글: wedul.site/131
'study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 - 외부 API 호출하기, WebClient 사용하기 (0) | 2021.05.12 |
---|---|
MockMvc 테스트에서 한글 깨짐 현상 (0) | 2021.04.23 |
엉터리 정리 - DAO, DTO, VO, Entity (0) | 2021.04.14 |
페이징 처리하기 (0) | 2021.04.08 |
엉터리 정리 - 하이버네이트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