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부트로 블로그 만들기(1) 데어 프로그래밍님의 강의를 듣고 작성하는 글입니다.(www.youtube.com/channel/UCVrhnbfe78ODeQglXtT1Elw) 개발 환경: JAVA 1.8 MySQL 이클립스 STS4 Maven Spring 2.4.3 Spring Boot DevTools lombok Spring data JPA Spring Security Spring Web STS : 스프링 개발을 편하게 하기 위한 개발 툴 개발 환경 셋팅을 하면서 배운 것들 - 각 라이브러리에 대해 다시 정리할 예정 spring boot devtools - 파일의 변경이 일어나면 자동 재시작을 해준다. lombok - 어노테이션으로 코드 자동 생성 spring data jpa - orm을 이용하기 위해 spring security - .. Spring Boot - 스프링 부트란? 개념 정리 데어프로그래밍 님의 스프링 부트 강의를 듣고 정리하는 글입니다. 스프링이란? 프레임워크다 -> 틀 안에서 동작한다. 오픈소스다 ->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를 볼 수 있고 수정도 가능하다. IOC 컨테이너를 가진다 -> Inversion of Controll(제어의 역전). 오브젝트에 대한 주도권이 컨테이너(스프링)에게 있다. 스프링이 Object들을 스캔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해 컨테이너에 담아 인스턴스의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 메소드를 스프링이 실행한다. -> 제어의 역전 DI를 지원한다 -> Dependency Injection(의존성 주입). 클래스 사이의 의존 관계를 빈(Bean)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것. 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를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