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터리 정리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엉터리 정리 - 도커 노마드 코더님의 5분 영상을 보고 적는 글이다. 현업에서 도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부를 해야할 것 같다. 도커는 environment disparity 문제를 해결한다. -> 코드의 개발 환경이 맞지 않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다른 머신에서도 같은 환경을 구성해주는 방법으로 해결한다. 사용방법. 개발 환경과 서버에 각각 도커를 설치한다. 그리고 docker파일을 생성한다. 이 파일에 구현하고 싶은 환경을 설정한다.(우분투, 파이썬 깃, ...) docker는 이 파일을 읽고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 받고, 해당 설정한 환경과 같은 버츄얼 컨테이너를 컴퓨터에 만든다. 그래서 개발 컴퓨터에서 서버로 코드를 업로드할 때(docker 파일과 함께) 잘 작동한다. docker 컨테이너들은 독립적인 것들이다. 따.. 엉터리 정리 - IIS, 레드마인 인터넷 정보 서비스(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IIS)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이다. 흔히 IIS라는 약칭으로 많이 불린다. 윈도우에서는 NT 커널을 사용하는 모든 버전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서버 버젼에서는 서버 관리자 스냅인을 이용해서 추가가 가능하며, 데스크탑 버전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으로 들어가서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체크하면 된다. XP 이하는 기본으로 내장이 안 되어 있으니 별도로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 나무위키-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다면,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웹서버 소프트웨어다. 레드마인(Redmine)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웹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와 버.. 엉터리 정리 - 메이븐과 그래들 참고자료 : 책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메이븐과 그래들은 빌드 툴, 프로젝트 관리 도구이다. 메이븐은 XML을 기반으로 의존성 및 디렉터리 구조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라이브러리가 추가되거나 각각의 라이브러리가 서로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참조하는 종속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XML의 특징인 구조화는 사람이 알아보기에는 쉽지만 XML문서의 양이 방대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그래들이 주목받는다. 그래들은 JVM기반의 빌드 도구, Groovy를 이용한 빌드 자동화 시스템이고, 메이븐과 호환된다. 설정이 간편하고, 프로젝트 별로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그래들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엉터리 정리 - 스프링이 요청을 받는 방식, Maven, Lombok 정리는 하고 싶은데 제대로 공부한 건 아니고,(귀찮아서는 그런건 아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까먹지만 않을 정도로 정리하는 엉터리 정리글. 그렇다고 내가 공부한 소스가 엉터리라는 건 아니다.(오해X)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한다. 요청할 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get 요청은 쿼리스트링을 추가해서, post나 put 요청은 보통 body에 데이터를 담아 보낸다. 스프링의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쿼리스트링으로 데이터가 들어왔다면 -> ?id=100&name=shin -> 이렇게 쿼리스트링을 보냈다면 컨트롤러의 요청을 받는 메소드에서 매개변수로 id와 name을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요청을 받는 메소드는 값을 객체에 담아 처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 받.. 엉터리 정리 - 쿼리 스트링 TIL 비슷하긴 한데 하루 동안 공부한 건 아니고, 정리는 하고 싶은데 제대로 공부한 건 아니고,(귀찮아서는 그런건 아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까먹지만 않을 정도로 정리하는 엉터리 정리글. 그렇다고 내가 공부한 소스가 엉터리인 건 아니다.(오해X) 간단하지만 이해하기 쉬워 먼저 읽어보면 좋다. 짧다. 쿼리 스트링 - 나무위키 쿼리 스트링은 쿼리 파라미터라고도 부른다. 주로 URL 끝에 붙여져 있다. 검색 사이트에 ?query=XXX 라든지, ?redirect=URL 이런 것이 쿼리 스트링이다. 쿼리 스트링은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데, 구조를 namu.wiki 쿼리스트링을 이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할 때, 추가적인 인자(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요청할 때, path 부분 뒤에 ?를 붙이고 "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