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Spring boot

2. Spring boot 입문 - 내용이 변하는 페이지

View Templates, mustache를 이용해 내용이 변하는 웹페이지를 만들자!!

  • View Templates은 페이지의 틀을 만들고, 변수를 사용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다른 내용을 보여주는 기술이다. 그래서 뷰 템플릿은 데이터를 담당하는 Model, 처리를 담당하는 Controller가 필요하다.
    • mustache라는 걸 사용해 화면들, View를 만든다. main/resources/templates/어쩌구저쩌구.mustache 안에 내용은 일반 html 내용과 같다.
    • 중괄호 2쌍으로 감싸면 변수를 넣을 수 있다. 이 부분은 나중에 컨트롤러가 모델한테 데이터를 받아 넣어 뷰를 반환할 것이다.
  • 이 뷰를 보기 위해 컨틀롤러를 만든다.
    • main/java/패키지이름/어쩌구저쩌구.class
    • 뷰 템플릿과 연결하는 메소드 코드를 작성한다.
    • @GetMapping이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뷰를 반환하는 코드를 짠다.
    • 여기서의 메소드가 리턴하는 값은 templates 폴더에 있는 mustache 파일의 이름이다.
    • 작성된 메소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작동된다. 
  • 컨트롤러는 뷰 변수를 사용하기 모델을 파라미터로 받아온다. 그 모델이 변수의 값을 가져온다.
  • 그러면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붙여 클라이언트에게 뷰를 반환한다.
    • 자세히 알아보면 컨트롤러의 메소드가 리턴하는데 그 리턴값을 ViewResolver가 받는다. 그러면 뷰리졸버가 templates에서 리턴값과 같은 파일을 찾아 전달한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페이지를 요청하면, 스프링 서버에서 컨트롤러가 그 요청을 받고 모델의 데이터와 뷰를 합쳐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

 

 

오늘 내용 코드를 올려져 있다. 아직 깃허브 활용도가 낮아 제대로 관리는 안되어있다.

 

 

cheogodzip/myblog

스프링 공부 시작. Contribute to cheogodzip/myblo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홍팍님의 강의를 보고 적은 글입니다.

 

클라우드스터딩 | CloudStudying

 

cloudstudying.kr